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kotlin
- springboot
- Specification
- Spring
- android studio
- backend
- AMD 안드로이드
- restful
- javascript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ES6
- 라라벨
- Nest.js
- lifecycle
- restapi
- AMD AVD
-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 너구리소굴
- ECMA
- API
- Android
- SpringSecurity
- Android-Studio AMD
- nodejs
- typescript
- avd
- MVVM
- java
- laravel
- SpecificationBuilder
- Today
- Total
목록springboot (3)
Owen Labs
JPA에서는 Select 쿼리를 생성하기위해 Specification이라는 것을 사용한다. Dto를 이용해 Specification을 손쉽게 생성할 수 있게 해주는 SpecificationBuilder를 구현해보려고한다. 왜 만들게 되었나? JPA를 이용해 개발하다보면 한가지 의문에 도달하곤 했다. ORM은 개발자로 하여금 SQL을 작성하지 않게 해준다는 것인데. 결국 SQL이 아닐 뿐 JPQL, QueryDSL 등의 형태로 여전히 쿼리를 작성하고 있다. 본질적으로 '쿼리'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어도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는 데에 문제가 없어야 정말 쿼리로부터 벗어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SpecificationBuilder라는 것을 처음 생각했다. SpecificationBuilder의 이점..
2022.07.21에 작성한 글에서 너구리소굴 백엔드 프레임워크를 nest.js에서 Spring boot로 변경하기로 결정했었다. 그리고 2022.08.29일 약 39일동안 백엔드 1차 개발을 수행했는데, 1차 범위에서 수행했던 작업들과 감상을 간단하게나마 기록하려고한다. 작업을 요약해보자면 아래 다섯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인증 - 비즈니스 로직(Application Layer) - Presentation Layer - Persistence Layer - 기타 초기 설정 이 중 인증과 비즈니스 로직에 대한 회고를 이번 글에서 작성하려고 한다. 인증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is Deprecated 1차 개발 범위 내에서 가장 오랜 시간이 걸렸던 작업 범위는 인증 도메인이었..
이전 게시글에서 백엔드 프레임워크를 Nest.js로 설정한 이유에 대해 기술했다. 두 달이 조금 안되는 기간 동안 프레임워크에 대해 충분히 익히지 못한 상태로 개발에 착수하기도 했고, 업무중에는 Spring Boot를 사용하다 보니 Nest.js의 단점이 더 두드러졌다. 그동안 개발하며 본인이 느낀 Nest.js의 단점은 아래와 같다. 1. DI 대상 객체들을 수동으로 등록해주어야 한다. Spring Boot와 비교했을 때 Nest.js의 가장 큰 단점은 DI 설정에 귀찮은 타이핑이 많이 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Spring Boot에서는 클래스를 정의한 뒤 어노테이션을 DI 대상 구현체에 하나, DI 대상 변수에 하나. 총 두 개의 어노테이션 만으로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 DI가 가능하다. 하지만 Ne..